내 관심창고/웨이크관련

[이론강좌] 베이직 점프 of Wakeboarding ( 투웨이크 점프 )

도시지기 2011. 8. 5. 15:07

1. 웨이크보딩은 배에서 연결되 내가 쥐고 있는 핸들에 텐션(장력)을 가지고 하는 운동입니다.

 

2. 펜듀럼( 시계추 ) 와 같이 일정한 거리를 호를 그리며 반복적으로 움직이게 되는 운동

 

3. 배에 속도가 빠를수록 물위에 떠있기게 편하다. 속도가 느리면 부하가 걸리면서 수면위에서의 활동이 저하된다.
    일정 속도를 가지고 움직이는 자신의 맞는 스피드를 알아야 한다.

 

4. 웨이크가 만들어지는 보트의 형태에 따라 로프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여야 하는데 아웃보드보트의 경우 웨이크가 만들어져

    올라오는 모양은 있으나 웨이크의 탄력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보다 어렵게 라이딩이 된다.
    따라서 아웃보드보트의경우 웨이크팝에 중점을 둔 라이딩보다는 다른 부분의 연습을 한다,.

    . 수면부상후 스위치, 스위치 상태에서 웨이크 안에서의 펜듀럼(왓다갓다),

    . 웨이크 밖에서 슬라럼 ( toe , heel ) 양방향의 슬라럼인데

       -----이때 배의 속도와 내가 이동하는 속도를 맞추는것이 관건입니다.

              너무 빠르거나 느리면 핸들의 텐션이 풀리거나 강해지면 안됩니다.

    . 레귤러스탠스의 경우 웨이크의 왼쪽 (배를 바라보고 있는 라이더의 경우) 밖에서  웨이크 서프를 합니다 

        --- 엣지 체인징의 모든 연습이 됩니다.
             업 다운다운다운다운 업....반복....업에서 엣지가 체인지 되지요,

             힐다운으로 2초 그리고 바로 업(엣지체인지) 토우다운으로 2초 웨이크 탑에서 바로 업..... 

             이때 한손으로 텐션을 유지 하는것 중요....(왼손)

    . 구피스탠스의 경우 위 내용 리버스 반복 .

 

5. 웨이크서프가 어느정도 익숙해지면, 웨이크 밖에서의 알리 연습을 하는데 이는 텐션을 얼마나 내것으로 만들고 있느냐 입니다.
    힐사이드 슬라럼으로 웨이크 밖에서 왼쪽으로 쭈욱 끌고 나갈때....
    보통 초중급자들은 이때 강하게 뒤로 눕습니다. (잘못)
    눕는게 아니라 핸들을 잡은 내 팔과 줄에 내 체중을 살짝 싣는다는 느낌이 중요하지요.

    슬라럼을 쭈욱 하고 나갓는데 줄이 남는 경우는 잘못된 경우 입니다.
    웨이크에서 3~5 미터 정도 이동하면서 순간적으로 오른손은 놓아진 상태.,...이때 텐션이 강하게 살아있는 시점입니다.
    두발로 퉁퉁 하면 몸이 통통 하고 뛰어오르는걸 느껴보셧을 거에요
    그상태....거기서 앞발을 확 접고, 뒷발은 동시에 접습니다.
    로프의 장력에 순간적이나마 1초도 안되지만,,,,잠시 공중에 붕하고 떠서 끌려가는 느낌이랄까요?
    보드의 탄성이라는것은 물위에선 없다고 보시면 되요.
    제일 중요한 텐션.....이 장력을 알리 연습을 통해 가져가는겁니다....

 

6. 텐션의 중요함은 이제 설명하지 않을께요. 텐션이 없으면 높이는 절대 가질수 없습니다.
    알리가 사진상에서 50센치이상나온다면....텐션을....줄의 장력을 느끼기 시작한겁니다.

    물론 무릅을 얼마나 접었는가도 중요하지요.
    시선은 몇미터 앞에 수면을 봅니다.
    핸들을 한손....( 한손으로 핸들을 잡으면 보드가 나가는 방향이 수평이기때문에 부력이 가장 큽니다 이때 살짝 당기면서 ......

    팔이 완전히 펴지지않은...완전히 접히지 않은.,....중간 상태에서 텐션을 내 팔이 유지해주고 유격을 정리해주는....

 

7. 몇번의 라이딩을 통해 텐션이 거의 이해가 되실때쯤....두손으로 알리를 치면서 

    왼손을 놓으면..알리 원에리..즉 버니합 원에리가 됩니다.
    보드의 노즈가 물위로 텡 하고 튀어오를때까지 왼손을 잡고 계시면 더 높은 하이를 가질수 있어요.

 

8. 이젠 웨이크 안에서 밖으로 나갈때 인아웃 웨이크 팝을 연습합니다.
    펜듀럼을 하다가 오른쪽끝 웨이크에서 왼쪽 웨이크를 보고 텐션을 강하게 가져 옵니다.
    알리 연습때와 동일하게....
    꾸욱하고 보드의 힐 엣지가 걸릴상태가 시작되기도 전에 왼쪽 웨이크 탑에 다가왔죠 ? 시선은 웨이크 탑을 끝까지 봅니다.
    거기서 바로 알리...빵!
    내가 연습했던 알리가 텐션을 유지한 상태에서..,....높이가 나왔더라면 .....

    무릎이 확실하게 접혀졌다면.....이미 상당한 높이로 인아웃 웨이크 점프를 하셧을 겁니다.

 

9. 반복적으로 연습에 연습을 하세요 위에 말한대로.....익숙해지면,,,

 

10. 웨이크위에서 ( 탑위에서) 노는 법을 익혀 보세요.
     슬라이드도 걸어보고 그 위에서 알리도 살살 쳐보고...
     물이 솟구쳐 오르고 있는 그 웨이크 탑을 알아야 합니다..그리고 느껴야 합니다.

 

11. 어느정도 익숙해질무렵....웨이크가 크다,,,작다....딱딱하다...뭉그러져있다...많은 느낌이 옵니다.
      여전히 웨이크 밖에서 웨이크 안에서 내가 잡고 잇는 핸들의 로프와 나는 일체가 되야 합니다.
      스피드를 알고 있다는것이지요..

 

12. 이젠.....슬라럼 자세를 말씀드릴게요
      힐사이드의 경우 웨이크밖으로 알리 연습을 통해 충분히 자세가 나왔을 텐데요...몸을 살짝 줄에 맡기는 느낌 그대로가

      제일 좋습니다. 강하면,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팝을 맞추기가 어렵지요.
      인아웃 웨이크점프를 통해 아셧을 겁니다.

 

 13. 토사이드 슬라럼은 웨이크 오른쪽 바깥으로의 이동인데요. 왼쪽 어깨가 안으로 닫힌다는 느낌을 가지세요,.

      시선은 그냥 살짝 오른쪽을 봅니다.
      고개를 너무 돌릴필요는 없어요.
      단....왼발에 체중이 실리는 느낌이어야 합니다.
      왼쪽 골반에 걸쳐진 핸들에 오른손이 잡고 잇고 왼손은 그냥 걸쳐있다고 해야하나요? ...

      이 상태에서 왼발에 체중이 실리고 왼쪽 어깨는 닫혀진 상태로 ......그대로 있으면 자연스럽게 텐션을 유지한채로
      슬라럼이 진행됩니다. 정확한 엣지가 걸려잇기때문에 빠르지도,,,느리지도 않게 이동이 됩니다.

 

14. 7~8 미터 정도의 슬라럼후...(이때는 웨이크서프의 다운 이라고 생각하시고 쭈욱 누르고 진행합니다....)
     원하는 만큼의 이동이 되셧으면, 업을 하지요. 이것을 로딩이라고들 합니다.
     슬라럼의 이동속도와 배의 속도가 일치하게 진행이 되었으면 로딩은 그냥 됩니다.

     토엣지에서 베이스로......베이스에서 힐사이드엣지로 체인징은 웨이크를 바라보며 닫혔던 왼쪽 어깨가 열리면서
     힐엣지와 함께 이미 끝난겁니다.

 

15. 더 당기거나 더 강하게 엣지를 걸면 순간적인 속도로 인해 배의 속도와 나의 어프로치 속도가 틀어지게 되고,,,,

     웨이크를 향하는 보드는 직각이 됩니다....
     팝을 맞추는게 너무나 어려워 지지요...

.

16. 연습하셔야 하는 부분이 여기에 또 하나 나옵니다.
     웨이크의 컷팅입니다.
     토슬라럼후 로딩 힐사이드어프로칭으로 그대로 팝없이 주욱......빨려 들어가는 느낌으로 그대로 진행하는겁니다.

 

17. 두개의 웨이크가 순간적으로 퉁,,,,퉁....하고 지나가게 되지요.....

     속도를 내거나 줄이지 말고 그대로...왼쪽 바깥으로 텐션을 유지한채 진행..,...

     다시 로딩후 토사이드로 어프로칭........아까 힐사이드 어프로칭을 위해 나갈때의 그 슬라럼 자세로 말입니다.

 

18. 또 다시 웨이크로진입...퉁....퉁....이게 웨이크 컷팅입니다.

 

19. 웨이크 서프, 알리, 슬라럼자세, 웨이크컷팅까지.... 중간에 인아웃웨이크 점프가 있었지요?

 

20. 컷팅까지 자연스럽게 별 무리없이 텐션을 가지고 계시다면......이젠 원웨이크를 뛰어 봅니다.
      인아웃점프 하듯이 웨이크 2미터 앞에서 텐션으로 어프로칭이 되면서 웨이크에서 알리를 뛰어 봅니다.
      퉁 하고 웨이크 컷팅이 되었던 감을 기억하며....
      거기서 바로 알리.....무릎도 접어보고....

 

21. 마지막 팁: 웨이크 알리를 칠때의 핸들을 잡은 손의 느낌은 팝을 맞을때의 핸들느낌 기억!
                    시선은 물을 아래로 직접 보는게 아님! 약간 앞을 볼것
                    여기까지 연습하는동안 다음단계로의 진행은 반드시 지금 단계의 연습이 되고난 후에 할것.
                   

이상입니다. 여기까지 연습하시는동안 아마도 20컷은 라이딩 하실텐데요....
제일 중요한것은 텐션입니다....
텐션...!